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과학자이자 KAIST 명예교수인 김승우 교수는, 한국 과학계의 미래를 이끌어 갈 주역으로 ‘괴짜’ 과학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괴짜 과학자라 함은, 기존의 틀과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독자적이면서 창의적인 방식으로 탐구를 이어가는 과학자를 말한다.
김 교수는 이러한 괴짜 과학자들의 활약을 위해, 자유로운 연구 환경과 꾸준한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노벨상이라는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연구 환경과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하며, 과학계의 미래를 위해 투자 및 지원 체계를 변화시켜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김 교수는 과학기술 분야의 국제 공동 연구와 교류 확대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는 “과거에는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후진국이었지만, 이제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과학기술 강국이 되었다”며, “국제적 연구 조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한국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김 교수는 노벨상 수상 가능성에 대해 현실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는 “현재 노벨상을 받을 만한 눈에 띄는 과학자는 없다”며, “하지만 꾸준한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언젠가 그런 ‘괴짜 과학자’들이 우연히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과학기술이 산업을 이끌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산업이 과학기술을 이끌어 가는 시대가 도래하였음을 지적하며,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과학기술 투자와 연구 방향을 유연하게 가져가야 함을 강조하였다.